본문 바로가기
돈버는 정보통

신생아 특례대출 신청방법,지원대상,금리

by 꿈꾸는 줌마 2023. 12. 17.

2024년 1월 시행예정인 신생아 특례대출은 정부에서 저출산 문제해결을 위한 정책금융상품으로 무주택 가구에게 저리로 주택구입비용을 대출해 주는 정책으로 27조를 공급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2023년 출생아부터 적용되며 결혼 여부와 관계없이 신생아가 있는 가정이라면 모두 적용된다고 합니다.  기존에 있는 특례보금자리론에 비해 금리가 크게 낮아진 것이 특징으로  출산예정이거나 신생아가 있는 가정이라면 꼭 조건을 확인하시어 도움이 됐으면 합니다.

 

신생아특례대출

 

지원대상

  1. 혼인여부 관계없이 무주택자
  2. 연소득 1.3억 원 이하
  3. 자산 5.06억 이하(전세 3.6억 원 이하)
  4. 대출 신청일 기준 2년 이내출산가구, 2023년부터 적용
  5. 주택가격 9억원 이하

※ 2022년 소득이 기준이 될 것으로 보이며 2022년 출산 가구는 자격조견에서 제외됩니다.

 

구입자금 vs 전세자금

신생아 특례대출은 주택구입자금 또는 전세자금으로 나뉩니다.

  1. 구입자금 : 최대 5억 원(1.6% ~3.3%)
  2. 전세자금 : 최대 3억원(1.1% ~ 3.0%)

대상한도 주택가격이 있으며 이는 주택가액 기준입니다.

구입, 전세자금 관련 개략적인 자료는 아래표를 참조하시면 됩니다.

 

 

신생아 특례대출 금리

 

1자녀 기준 소득별 금리

  • 8.5천만 원 이하-1.6 ~ 2.7%
  • 8.5천만 원 초과 ~1.3억 원 이하- 2.7 ~ 3.3%

추가로 아이를 낳으면  신생아 1명당 0.2% 포인트씩 금리를 깎아주고 특례금리고정 기간을 5년 더 연장해 줍니다.

만약 아이 2명 출산 시 15년을 특례금리를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처음 1.6% 금리를 적용받고 아이를 2명도 낳으면 금리가 1.2%까지 내려가게 됩니다.

 

대출이자계산

예를 들어 수도권에서 6억 원짜리 주택을 구입하기 위해 2억 원을 대출받을 경우 이자를 계산해 보겠습니다.

이자는 연 3.3%, 대출기간은 10년으로 계산할 경우 매달 약 195만 원씩 상환해야 합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 본인의 상황에 맞게 이자를 계산해 보시기 바랍니다

신생아 특례대출 신청 방법

신청방법은 디딤돌 상품과 매우 유사합니다.

정부는 이상품을 시중은행과 위탁하고 있으므로 해당 상품을 취급하는 시중은행을 방문하거나, 기금 e 든든 홈페이지 또는 모바일 앱(APP)을 통해  기준 상품과 동일한 절차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기존 대출에 비해 금리가 파격적으로 낮아지기 때문에 많은 분들께 희소식이 될 정책입니다, 주택구입이나 전세 계획이 있으신 분들께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https://enhuf.molit.go.kr/기금 e 든든 웹사이트 방문하기

 

기금e든든

주택도시기금 대출상품소개, 대출신청, 대출신청현황 조회, 대출실행내역 조회, 소명자료 제출

enhuf.molit.go.kr

 

 

 

 

 

 

댓글